허브 중앙형을 만들기 위해서 RC 자작 킷을 탈 거 했습니다.

RC모터 힘은 80KG 의 체중을 가진 나를 54Km/h 까지 가볍게 가속 시킵니다. 

내리막 길에서가 아닙니다. 

기존 모터를 가지신 분은 감이 안오실 겁니다. ^^

소음이 있죠. 더구나 안양 유통상가에 있는 서x기어란 곳에서 축, 가공을 했는데.. 잘 못 했나 봅니다.

기존 보다 소음이 더 나서 속상했습니다. 추후에 다시 축 가공을 해볼 생각입니다만.. 서x기어 에서는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장착된 사진 부터 탈거 사진을 올려 봅니다. 

장착 모습

 

 위에서 모습, 정렬이 예술이지 않나요?

 

RC 모터 와 감속기어부분 결합되어 있죠.

탈거 한 모습니다. 파이프클램프 특이하죠.

 

감속기어 부분 모습 1

 

감속기어 부분 모습 2

 

모터 브라켓 - 솔리드 웍스로 공부겸 해서 해보았죠. 적성에 맞지 않나봅니다.

 

다른 측면 모습

 

파이프 클램프 모습

 

전체 모습 ㅎㅎ

허브 중앙형이 끝나면 다시 달아야죠. 지금은 팔펀 허브모터를 달아서 자출 중인데.. 언제 다시 달지 모르겠습니다. ^^;;

블로그 이미지

UART

,

허브 중앙형을 만들기 위해 절반 정도 진행 된 것 같습니다.

허브모터에 프리휠 역으로 장착하고 고정하는 부분과

폭이 넓어서 줄이는 것 이 두가지가 기본이 되는 군요.

더불어 토마허브모터는 아주 좋은 모터(?)라 내장형 컨트롤러 제거와 동작테스트가 더 들어 갔습니다.

clip_image001

장착할 프리휠

clip_image002

모터 코일부분 삽입 하고 기판 내부 부분 제거 밎 3선 연결 준비 - 여기가 거의 80프로 됨.

코일 뭉치 넣을 때 손 조심,조심

clip_image003

연결 및 내부 고정

clip_image004

조립 완료..

컨트롤러 제거 후 테스트 해봄

clip_image006

프래임에 올려 본것, 모터가 역시 크네요. ^^

clip_image007

위에서 찍어본 사진, 폭(110mm)을 줄이기 위해 고생 많이 했습니다. .ㅜㅜ

자전거 프래임에 어떻게 장착할까?? 이제 시작이네요.

블로그 이미지

UART

,

토마라이더 300에 있는  허브모터를 어떻게 할까 고민 중에 분해 했습니다.

8fun 허브모터  구매하여 진행 하려다 취소하고 이것으로 사용하게 될 줄이야...ㅡ_ㅡ

천천히 부품들 구해 보고 브라켓 어찌할지 고민 좀 하고 한동안은 RC모터로 자출은 계속하고 ...

다단 RC모터 형은 잠시 보류.. 으하하하하~~~

clip_image001

clip_image002

clip_image003

블로그 이미지

UART

,

SKT  3G 유심을 사용 중입니다.
베가 시크릿업이  부득히 필요하여 중고로 알아보고 있었는데,이통사 인지도 문제일까요?
KT나 SKT의 베가 시크릿업이 손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괜히 중고 기기가 비싸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기다리다 못해 LGT LTE기기를  SKT 3G 유심으로 사용 가능하다 란 글을 보고
U+LTEA 지원 베가 시크릿업을 구매 했습니다.

내가 스마트 폰에게 바라는 환경은 3G 유심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파이환경에서만 인터넷을 하고 싶었습니다. 즉, 통화 피쳐폰 + 와이파이스마트폰 사용자인 것이죠.

KT용 LG VIEW2와 같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아래와 같이 합니다.
공기계에 USIM를 끼우고 재부팅을 하면 기본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먼저 APN를 설정을 확인 합니다. 

1. APN 추가
설정-더보기..-모바일네트워크-APN을 보면 SKTELECOM(lte.sktelecom.com)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기본 세팅은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게 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통신이 안되는 것으로 세팅을 추가 합니다.

메뉴 버튼- 새 APN 선택 하면 액세스 포인트(APN) 편집 으로 들어간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이름 : SKT 3G
APN : mmsonly.sktelecom.com
……(수정하지 않는다.)

MMSC : http://omms.nate.com:9082/oma_mms
MMS 프록시 : smart.nate.com
MMS 포트 : 9093
.........(수정하지 않는다.)

메뉴 버튼을 눌러 저장한다.

이후 SKTELECOM과 SKT 3G가 있으면 SKT 3G 를 선택한다.


1번 끝

2. 주파수망 선택 - 폰의 주파수 망을 WCDMA+GSM 또는 WCDMA ONLY으로  선택한다.

통화다이얼  선택에서 ##7593#을 누르면 설정 히든 모드로 들어간다.
UMTS Setting 창이 나오고 WCDMA/GSM Band Select 선택합니다. 

여기서 해외나가시는 분은 WCDMA + GSM를 선택하시고  국내에만 있다면 WCDMA를 선택하면 됩니다.
저장 누르면 재부팅 하겠냐?는 영어가 나오고 확인을 누르면 재부팅 됩니다.  

2번 끝
완료.. 잘 되고 목적에 충실해 졌습니다.

참고로 2013년11월 이후 생산된 기기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

블로그 이미지

UART

,

AndroidManifest.xml 에 아래와 같이 installLocation 을 추가 한다.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com.freecatz.test"    
android:versionCode="3"    
android:versionName="1.6"    
android:installLocation="preferExternal" >

auto : 자동으로 내장메모리에 우선 설치 하나 공간이 없는 경우 외장메모리에 설치.
internalOnly : 내장 메모리에 설치.
preferExternal : 외장메모리에 설치를 우선으로 하나 공간이 없는 경우 내장메모리에 설치.
블로그 이미지

UART

,

 

출처 :http://matoker.com/30179140155http://matoker.com/30179140155

[Eclipse] 이클립스 한글 잘보이게 변경하기(글꼴/폰트 변경하기)

(글꼴/폰트 변경하기)

이클립스에서 한글을 보면 잘 안보입니다.

좀 작고 찌그러져 보입니다.

이클립스 기본 글꼴로 지정되어 있는 Consolas 글꼴이 한글을 이쁘게 지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글이 잘 보이는 글꼴로 변경해보겠습니다.

제어판에 들어간 이후에 우측 상단에서 "글꼴"로 검색을 합니다.

그리고 [설치된 글꼴 보기]를 클릭합니다.

설치된 글꼴 중에서 Courier New 를 찾습니다.

Courier New 글꼴이 연하게 보이면 숨기기(비활성화) 상태이므로 표시(활성화) 상태로 변경합니다.

표시(활성화) 상태입니다.

이클립스 상단 메뉴에서 [Window]->[Preferences] 로 들어갑니다.

[General]->[Editors]->[Text Editors]->[Colors and Fonts] 로 들어갑니다.

[Text Font]를 선택하고 [Edit]를 클릭합니다.

Courier New 를 선택합니다.

[OK]를 클릭합니다.

한글이 잘 보이도록 변경이 되었습니다.

Courier New 글꼴은 Fixed Font 이므로 글자 가로 크기가 동일합니다.

개발자에게 필수인 Fixed Font 입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블로그 이미지

UART

,

설치 순서

JDK설치 -> 이클립스설치 –> ADT 플러그인 설치 –> 안드로이드 SDK 설치 –> AVD 생성 –> eclipse 환경설정

1. JDK 설치

JDK 다운로드 – SE 버전 다운로드

옵션 변경 없이 모두 설치

시스템변수에 JAVA_HOME 추가, 자바 JDK의 설치 홈위치를 등록한다.

2. 이클립스(ECLIPSE) 설치

ECLIPSE 다운로드  - Eclipse IDE for Java Developers 다운로드

원하는 곳에 압축을 풀고 eclipse.exe 의 단축 아이콘 생성

3. ADT 플러그인 설치

ECLIPSE 메뉴 중  Help / Install New Software  선택

Add를 클릭하여

Name : Android ADT

location : http://dl-ssl.google.com/android/eclipse/

을 입력 한다.

 

4. Android(안드로이드) SDK 설치

SDK 다운로드 -    위에서 한 것 처럼 별도로 eclipse를 받았다면 USE AN EXISTING IDE 측 메뉴에서 선택하여 SDK 설치파일을  다운 받고 실행하여 설치 하자.   SDK만 설치하고자 하면 JAVA_HOME 변수가 꼭 필요하다.

이후 ADT를 잘 설치 되었다면 eclipse 의 메뉴 중 window / Android SDK Manager 가 보일 것이고 이를 실행하여 원하는 SDK를 설치 하면 된다. 설치 후 eclipse에 SDK가 설치 되어 있는 위치를 알려 주어야 한다. Window/Preference 메뉴에 Android 의 SDK Location 란에 위치를 알려 준다.

최근에는 SDK를 다운 받는 곳에 eclipse와 ADT 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배포하고 있다. 1,2,3 번을 생략 할 수 있다. 받는 것은 선택 사항이다.

5. AVD 생성

eclipse의 Window / Android Virtual Device Manager 를 선택하여 실행 생성하면 된다.  별 어려움은 없다.

6. eclipse의 환경설정

Preference / General / Workspace  -> Text file encoding –> UTF-8

Preference / General / Editors / Text Editors / Spelling –> Enable spell checking 해지

Preference / Java / Coding Style / Organize Import  / Number of import … –> 1

Preference / Java / Compiler / Errors / Warnings / Unnecessary code  -> All Ignore

Preference / Android / DDMS / ADB connection time out( ms ) –> 30000 이상

블로그 이미지

UART

,

아.. 이런 귀중한 글을 찾았다는 것이 넘 기분 좋았다. 중국산 배터리가 세계 표준이 되어간 요즘 밸런서 컨넥터가 국내에서 찾지 못하여 고민하고 있었다.  직접뵙진 못했지만  멋진 분이라 생각 들고  이를 공유하여 주셔서 감사할 따름이다.

링크 : http://cafe.naver.com/rcclinic/18

서보 콘넥터, 배터리 밸런스 콘넥터 구입처
|서보 컨넥터와 배터리 밸런스잭 컨넥터를 구입 할 수 있는 곳을 발견하여 공유하고자 글 남깁니다.

서보 컨넥터

서보 컨넥터 핀 => http://ds-parts.co.kr/goods_detail.php?goodsIdx=1269

서보 컨넥터 하우징 => http://ds-parts.co.kr/goods_detail.php?goodsIdx=1261

중국산용 밸런스 컨넥터

밸런스 컨넥터 핀 => http://ds-parts.co.kr/goods_detail.php?goodsIdx=6875

밸런스 컨넥터 배터리쪽 하우징 => http://ds-parts.co.kr/goods_list.php?Index=1113

밸런스 컨넥터 기판용 하우징 => http://ds-parts.co.kr/goods_list.php?Index=1114

밸런스 컨넥터 연장선용 하우징 => http://ds-parts.co.kr/goods_list.php?Index=1170

밸런스 컨넥터 연장선용 핀 => http://ds-parts.co.kr/goods_detail.php?goodsIdx=6948

블로그 이미지

UART

,

image

이 것에서 아래 처럼 체크 해제

image

블로그 이미지

UART

,

MS SQL에서 FILE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했었다. 하지만 일전에 발견된 문제(?)에

다시 이전 방식(BLOB,IMAGE)으로 돌아갔었다. 하지만 내가 무지해서 방법을 찾지 못한 것인가? 란 생각에

 

다시 설치하고 확인을 했으나 역시 맘에들지 않았다.

그럼 내가 고민한 문제는 아마 고수 분들은 가볍게 웃을 수 있겠으나 내가 찾는 방법은 현재는 하나 밖에 없었다. 누구 방법을 알려 주면 좋겠는데.. 

내가 느낀 단점은 파일스트림으로 저장된 공간(NTFS 파일시스템)은 QUERY (DELETE 문) 로 삭제 되지 않았다. 나중에 보니 NTFS가 만들 수 있는 단일 폴더 개수를 넘어서니 파일시스템오류를 내고 더 이상 진행 되지 않는다.

유일한 방법(현재까지)은 DELETE 문 날리고 이후 백업을 하는 것인데.. 파일 스트림을 사용한다는 것은 대용량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고 백업하면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된다. 

 

기존 처럼 IMAGE에 넣어 두고, DELETE 날리면 삭제될 것인데.. FILESTREAM 너무 불편하다.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백업을 자동화 할 수 도 있겠으나  백업 용량은 어떻게 할 것인가?

디비 로그는 또 어떻게 할 것인가? 

 

 

에휴 .. 명괘한 답이 있으면 좋겠으나 아직 찾지 못했다.

아직 사용할 때가 아닌가보다....

블로그 이미지

UA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