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랜카드로 무선 공유기 만들기 필요해 인터넷 검색으로 찾는 것이 불편해 정리 합니다. 



1. 무선 랜 카드 세팅 -

#CMD 창에서 작업(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다.) 

1-1. "netsh wlan show drivers" 입력 후 엔터, 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 여부 확인 - 반드시 지원여부에 '예'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1-2. 지원여부가 확인되었으면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allow ssid=test_wlan key=1234567890" 입력 후 엔터

(ssid = 무선검색시 나오는 이름, 여기서는 "test_wlan" 으로함.  원하는 입력)

(key = 무선검색 연결시 필요한 암호, 여기서는 "1234567890" 으로함. 원하는 입력)

1-3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 입력 후 엔터, 호스트 네트웍크 실행


2. 일반 lan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공유할 유선 랜 카드 설정

#윈도우 설정에서 작업

2-1. 윈도우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어뎁터 설정에서 보면 어뎁터 목록이 나온다. 

2-2. 무선 랜카드 세팅이 제대로 되였다면 어뎁더 목록에서 ssid로 입력한 네트워크가 보인다.  이 이름을 기억한다 .

2-3. 어뎁터 목록에서 유선랜카드을 보고 마우스 우측버튼에서 속성 보기

2-4. 속성에서 네트워크 탭과 공유 탭이 나오면 공유 탭 선택

2-3. 인터넷 연결 공유에서 첫번째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 할 수 있도록 허용" 을 체크 

2-4. 이때 홈 네트워킹 연결이 나오면 콤보박스 목록 중 ssid로 입력한 네트워크의 이름을 선택한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완료

 ** 추가 **

3. 만약 PC를 종료하거나 로그오프 등이 되면 호스트 네트웍크가 해제 됩니다. 

다시 사용하고 싶을 때는 1-3의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만 재 실행 하면 됩니다. 


'DI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조) 전압 분배시 참고 하자.  (0) 2013.03.14
블로그 이미지

UART

,

public class Data

{

public int Val = 0;

public Data(int val)

{

Val = val;

}

}


List<Data> datas = new List<Data>();


datas.Add(new Data(1));

datas.Add(new Data(3));

datas.Add(new Data(2));


1. List의 Sort 함수 이용


datas.Sort(delegate(Data a, Data b)

{

if(a.Val > b.Val)

return 1;

else if(a.Val < b.Val)

return -1;

else 

return 0;

}

);


2. LinkQ 이용

var result = from n in datas orderby(descending) n.Val select n;



블로그 이미지

UART

,

MACH3에는 상당히 많은, 그리고 재미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 중에 G31를 지원하는데요. 


전기적 신호가 올라 올때까지 움직에게 하는 GCODE입니다. 


사용은 G31 Z..., G31 X ...  등등 으로 모든 축이 가능합니다. 


알리에서 EDGE FINDER를 구매했습니다. 별다른 기능은 없지만 EDGE 를 찾으면 불이 들어오는 제품입니다. 

볼처럼 보이는 것과 재료가 만나면 불이 들어오죠.  


하지만 MACH3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정지하는 기능있습니다.

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내부에 LED를 제거하고 스위치처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간단히 작업이 되어서 좋네요.  관련 스크립트만 좀 만들면 굉장히 편한 툴이 될 것 같습니다. 


'CNC > MACH3' 카테고리의 다른 글

MTC(Manual Tool Changer) 테스트 기록  (0) 2018.04.09
블로그 이미지

UART

,

PCX125 2014년 식을 올해 2월쯤 구매 했다. 


이와 같은 디자인의 바이크 인데, 20000Km 정도에서 구매 했고 카울의 상태는 썩 좋지는 않았다. 

판매자와 나름 가격을 네고하여 구매하고 네고비 만큼 수리비가 들었다. 


PCX를 구매 한 이유는 연비 때문인데, 보통 38Km/L 정도 나온다. (물론 더 나오는 분도 있지만)

출퇴근 용으로 생각하고 구매 했다. 출퇴근 용도로 사실 이전에 편도 12KM 정도 되는 직장까지의 거리를  전기자전거 출퇴근 했었는데, 일이 많아 늦게 까지 업무가 있는 날에는 자전거가 조금 부담되었다.  

항상 바이크 구매시 고민하는 것이 사고 위험 등등이 고민되는 것 같다.  사실 바이크는 사고가 나면 크게 다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방어운전과 안전 운전으로  안전에 더 더 더 생각하며 타고 있다. 


안전을 위해서  바이크를 구매 후 처음 한 것은 헬멧 구매, HJC란 브랜드로 저가 중국산보다도 인증된 제품이다. 물론 가격은 저렴한 것으로 했다. 

두번째 구매 품은 블랙박스이다 . 

VSYS 2018 Latest M6L WiFi 1080P 로 

와이파이가 되고 FullHD녹화가 제품으로 중국 알리 직구 제품이다. 바이크 용으로 나온 것인데, 방수되며 내구성이 좋다고 하여 구매하였다. 더 저렴한 제품도 있었으나 이왕 오래 쓸거 과감히 구매했다.

문제는 장착이였는데 공임비가 비싼 이유로 손수 하려고 카울 분리했다. 처음해서 인지  주말에 10시간 이상 걸렸는데, 카울 분리는 힘든 작업이다.  정말 힘들었다. 

 힘듦에도 나름 보람이 있었는데 바이크 전장부분이 눈으로 확인되어 앞으로 할 작업(LED 바 장착, 비상등 장착 등)에 어떻게 할지 알 수 있었다.  고장이나 또 뭐가 부족한지 확인 할 수 있었다.


 장착은 다음과 같은 위치에 하였다. 

정방 카메라는 정 중앙에 장착 할 수 있었으나 혹 쇼바의 충격에 간섭이 생길까 살짝 우측으로 장착하였다. 


후방 카메라는 번호판등 위쪽에 장착하였다. 위치는 잘 잡은 것 같다. 



세번째는 비상등, PCX 신형(2015년 이상)은 비상등이 있다고 하는데 아쉽게 2014년식 PCX 는 비상등 및 스위치가 없다. 

윙크 릴레이를 교체하고 대림에서 판매 하는 스위치를 사용하면 좋다는 카페 경험담을 보고 따라했다. 


비상등 장착기는 별도로 글을 올려 보겠다.

아.. 비상등 하면서 LED바를 장착하고 싶어졌다.  

바이크는 후미가 항상 불안하기 때문이다. 


글 쓰면서 생각나는 것은 중고제품에는 이것 저것 손 볼게 많다.  그 만큼 그 나름의  고통과 즐거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PCX를 안전 하게 잘 타자!!! 





   

블로그 이미지

UART

,

기존에 MCT 뼈대가 필요하여 구매 했던 장비가 있다. 

막상 기존거 청소하고 기존 전장 다 제거 하고 MACH3에 올려서 동작하게 해 두었으나 MCT가 좋은 것은 툴 변경이 가능한 것인데.. 

개인 적인 이유로 영상을 올리지 못 했다. 

오늘 시작으로 기존 내용과 장비에 대한 것도 하나씩 올려 보려 한다. MACH1 의 이름을 가공기에 붙이고, MACH3에 Tool Change 매크로와 화면 SET를  받아서 설치 후 테스트 하였다. 


참고 했던 자료는   

https://youtu.be/26_N4uwRWmQ

이 분 영상으로 참고 했고  매크로는 이 분이 만든 매크로를  

https://www.dropbox.com/sh/vhqk5z8f0hn4zi3/AAB9elslrGs_WucoED6g2WGMa?dl=0

에서 다운 받아서 사용했다. 

아무튼 테스트 결과는 성공적인 것 같다. 테스트 하기 위해서 허공에 하는 것 보다는 툴 박스가 필요했으니 겸사 겸사 이용하여 가공 했다. 



'CNC > MACH3'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ge Finder, 수정하여 Mach3에서 사용하기  (0) 2018.05.09
블로그 이미지

UART

,

무브메이커 다운받아 사용하고자 했으나 여러 블로그들은 이미 다운 받은 위치가 삭제되어 있었다. 

http://sunstar2.tistory.com/1562

위 블러그 글은 2018.04.09 일 기준으로 아직까지 다운받을 수 있도록 URL 이 살아있다. 

https://drive.google.com/file/d/0By-KMU1VWANMMmhfME56Zk55RjQ/view

윈도우 에센셜 다운 url이고 에센셜 안에는 몇가지 다른 제품도 있으니 설치 할 때 필요한 것을 선택하세요.  디폴트로 모두 설치되게 되어 있으니 .. 


아, 주의 할 점이 하나 있습니다. 윈도우 10에서 설치 후 에러 메시지가 있습니다. 

무시하세요.  잘 설치 된 것 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UART

,

윈도우 10 설치 파일이 필요하여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아래와 같은 MS의 사이트에서 정품을 다운 받을 수 있는 URL를 확인 했습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다운을 클릭하면 MediaCreationTool.exe 이 다운로드 되고 실행해서 자신의 PC 업그레이드나 USB 또는 ISO로 저장 할 수 있게다고 합니다. 

메뉴을 잘 보고 선택 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인터넷 연결 되는 툴이니 이점 꼭 확인 하세요. 



'어플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무료에 알집포맷 파일 열기 (반디집)  (0) 2013.01.08
블로그 이미지

UART

,

알리를 알기 전 인터넷 카페에서 공구로 구매했던 하코 FX-951 인두기가 아래 사진 처럼 깨졌습니다.  주로 납땜시 대기시간과 출력이 좋아서 정말 잘 쓰던  인두기이였습니다. 

이 구형 인두기는 단점이 사진에도 보인 것 처럼 중앙에 연결 부분이 너무 약해서 몇번 반복작업이나 힘이 들어가는 작업시 바로 빠지거나 깨집니다. 또 아래 사진에서 보는 것 처럼 인두팁하우스도 얼마 길지 못해서 약하게 잡히여 잘 빠집편이였습니다.   


알리에서 신규 구매한 제품 입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기존 인두기보다 더 튼튼한 제품으로 보여 구매했습니다. 사진에서 처럼 분리된 모습이나 전 조립된 제품을 구매했습니다.  기쁜 마음으로 1개월 가까이 된 시점에서 받고 스테이션에 연결해보니 동작되지 않고 500에러를 띄웁니다. 


이상해서  뜯어보니, 기존 제품은 인두선이 3P(3선) 제품이고 이번에 구매한 것은 5P(5선) 제품이라 고민되였습니다.  

일단 새 것으로 장작해 보았으나 역시 정상 동작되지 않습니다. 

까서 핀맵을 아래와 같이 확인을 했습니다. 

자세히 보면 

기준턱 기준으로 기존 핀맵

신 핀맵

선 개수도 다르고 핀맵 위치도 다릅니다.  

고민을 어떻게 하다가 T-12K인두 팁에서 설명서를 보고 아래 사진에 보인 컨넥터하우스를 보고  기능을 검토합니다. 

자세히 보니 빨,검은 +, - 가 확실합니다. 그리고 흰색과 파랑은 다이오드같은 것에 연결 되어 있고 나중에 이녀석은 스위치 역활을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아무튼 시간을 드려 선 조합보고 납땜하고 선조합하고 납땜하고 ..  반복하다.

아래 두 사진 처럼 납땜을 다시 했습니다.  

동작확인 ..오호라... 500이 뜨지 않군요. 500은 에러코드 입니다. 

아래는 200도로 설정 되고 LED가 깜빡입니다. 굿.. '^^/

결론 최종 스테이션에 컨넥터 핀맵은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 저 처럼 큰 삽질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UART

,

2년전에 구매한 스피커, 음질도 좋고 튼튼하다고 생각했다. 근데 잘쓰다 어느 순간부터 충전 안되고 불이 들어오다 안들오다.. 왔다갔다하고.. AS기간도 끝난것 같아서 다른 중국산 스피커를 구매 했다. 같은 중국에서 만들어서 내구성은 어떨지 ...

아무튼 대체 품도 구매했고..  버릴 각오로 이거 고쳐볼까란 이유를 앞세워 분해시작..

했다. 여기서 두가지 문제을 찾았다. 하나는 배터리가 맛(?)이 갔다.위 사진 .. 또하나는 아래 사진 처럼 USB 충전단자 부분의 PCB가 상태가 안 좋았다. 살짝 힘 주었는데 떨어지네 .. ㅜㅜ

이것만 따로 구매 가능 할까? 생각을 잠시 했으나 접었다. 첫 사진 보면 실리콘으로 막아 둔거 보니 교체할 생각이 없는 것으로 생각 되였다.

그래서.. 아래 사진 처럼 주변에 있는 컨넥터로 빼주고 PCB기판 선 따라 납땜해서 밖으로 뺐다.


남은 하나는 배터리 인데..

참 답이없다.  교환할 배터리 찾아 집을 구석구석 살펴봤다. 아래 사진의 배터리로 대체하기로 했다. BMS가 있는 타입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수축튜브를 잘라서 보니 BMS가 있어서 교체할 배터리도 BMS확인했다.

컨넥터가 달라 선 연결을 아래처럼 잘라서 연결 수축튜브 사용하여 깔끔하게 했다.

배터리 선 자를때 숏트 주의하여 +,-각각 자르고 연결작업시에도 주의를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배터리사이즈 다르고 해서 간섭있을까  걱정했는데.. 안에 지지하는 필요없은 플라스틱을 자르고.. 넣어서 조립완료 했다.

그리고 전원 넣었더니...


잘된다. \ ^_^/

충전기도 다음과 같이 컨넥터 작업했다.

이건 집에 이미 있으니  공방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면 딱이겠다.. 란 생각 했다. 

좋은 음질의 블루투스 스피커 살려서 기분이 좋군요.


블로그 이미지

UART

,

BMSBATTERY 에서 구매한 EMC-400 충전기 입니다. 400W 급  급속 충전기로 36V를 8A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CAM00978

보통 2A충전기 기본인데 4배의 빠르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20Ah짜리 배터리를 가지는 나는 4시간만에 충전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충전기가 12V 쿨링팬을 사용하는데.. 발열에 대한 처리를 올리기 위해서 빠른 회전을 합니다. 그에 따른 소음은 환상적이데 , 비유를 틀면 서버를 처음 켜면 돌아가는 소리, 일반 PC 4배의 소리 정도면 이해가 될련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회사에서 충전을 좀 하려치면 소음 때문에 주변에서 PC소리가 너무 크다고들 합니다. 뜨끔하죠.  월 1000원 정도의 전기를 사용하지만 ... 회사전기니... 아무튼

여러가지 방법을 찾다가 회전을 낮추면 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전압을 낮추면  속도를 줄일 수 있으니.. 그럼 12볼트를 5볼트로 하고자  생각합니다. 방법은 저항을 넣어서 할 수도 있으나 적당한 저항을 찾지 못했습니다. 12V 0.2A 를 사용하니 2.4W 이상의 저항이 필요했는데.. 없었습니다. 그러다 책상 서랍을 뒤지니 LM7805가 있습니다. 오.. 이거면 되겠다.  가격도  250부터 1000원 미만이니 , 딱이다.  요 녀석으로 12V 를 정격 5V로 만들수 있겠다. 싶어서 유니버셜기판 쪼가리에 붙여서 납땜을 합니다. 

CAM00973

 

다음과 같이 장착을 했습니다.  사진이  안 좋아서 작게.. -_-;

CAM00976

 

기판에서 나오는 플러스(+) 선을 7805의 1번핀으로 하고 3번핀으로 모터 플러스와 연결하고 2번핀을 기판에서 나오는 마이너스(-)를 연결하고 모터 마이너스(-)와 연결  합니다.  자세한 것은 맨 아래 동영상 참조하세요. 

소음 한번 차이를 비교해 보면

원 충전시 소리

EMC-400 원 팬소리

자동차 소음도 들리지만 팬소리 역시 큽니다.

EMC-400 개조된 팬소리

오.. 거의 들리지 않아요. 

내부 개조된 팬연결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LM7805로 전압 다운 상태의 화면

 

해보니 소음은 절반이상 줄었고 이 정도면 괜찮다. 란 생각하며 충전 테스트를 계속 해봅니다.

발열은 좀 더 있는 것 같습니다. 일정 온도 올라간 후 계속 유지하는 느낌이며 1시간 8A연속 충전에도 일정한 발열 유지되었서 일단 합격점을 주고 싶습니다.  혹, LM7805가 열이 있나 확인하기 위해서 다시 뚜껑열어서 확인, 미열도 없습니다.  이유를 생각해 보니 12V에서 0.2A였는데. 5V 로 낮아지면서  소비전류도 같은 비율로 낮아 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무튼 이론은 어찌되었건 간에 만족하며 쓸 정도는 된다입니다. 소음때문에 팬교체니, 조절장치달거나 .. 기타 방법이 많으나 이런 방법도 있구나 해주었으면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UART

,